다크모드
상단 스크롤바

파레토법칙(Paretos law)

profile_image

페이지 정보

본문

4775b833353e2237801a1b4232a5364f42508ed7.jpg


사회전반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80%는 20%의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한다는 경험법칙이다. 

80%의 효과는 20%의 노력으로 얻어진다는 것이다. '20:80의 법칙'으로도 불린다. 

중요한 소수가 결과의 대다수를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20%의 기업구성원이 전체 업무의 80%를 수행한다거나, 20%의 범죄자가 저지른 범죄가 전체 범죄의 80%를 차지한다든가 거의 모든 분야에 응용 할 수 있다. 

이 법칙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곳이 마케팅 분야이다.


선택과 집중은 오래전부터 기업들에게는 익숙한 전략중 하나이다. 

마케팅적인 접근을 한다면 기업은 우량고객(20%)에 집중하고 이들의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반복적인 소비를 위한 프로모션들을 진행한다. 

매출의 80%는 20%의 우량고객들로부터 발생되기 때문에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효율적인 전략을 짤 수 있다.

또한, 상위 20%의 인기있는 제품이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현상도 그 예로 들 수 있다. 

모든 분야의 분할 비율이 정확하게 20:80으로 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경험적으로 이 비율이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어 '파레토의 법칙'은 일종의 황금비율로 인정받고 있다.

추천 0 비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지식충전
게시물 122건 6 페이지
'솔로몬'이라 하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솔로몬의 법칙을 생각하거나 그가 발휘한 지혜를 떠올릴 것이다. '솔로몬'은 그 자체로 지혜롭다, 현명하다, 사려 깊다는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지혜로웠던 솔로몬 왕을 비유해서 갈등이나 여러 상황들을 지혜롭게 해결할 때 ...
부메랑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인 '아보리진'이 사냥이나 전쟁을 할 때 사용했던 도구이다. 그들은 목표를 공격한 후 다시 본인에게로 되돌아오는 부메랑을 만들었는데, 만약 부메랑이 본인이 목표한 목표물에 맞지 않고 그대로 돌아오면 부메랑을 던진 사람이 공격받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상황처럼 본인이 의도...
산불이 크게 나거나, 위의 사진처럼 큰 사고들을 일어나는 경우를우리는 주위에서 종종 볼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사고들은 아무런 예고 없이 한 번의 실수 혹은 불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일까?이에 대하여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는 "아니다."라고 답할 것이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2014년 세월호 침몰...
작은 흠들을 내버려 두었다가 그 흠이 점점 더 커져서 큰 흠을 만들어낸 경우를 본 적이 있는가? 이렇게 사소한 실수나 아주 작은 흠들을 방치해두면 이후에 큰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을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다들 한 번쯤은 이 실험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치안이 좋지 않은 골목에 똑같...
'쿨리지 효과'란 상대를 바꾸었을 때 욕망이 증대되는 경우를 일컫는 용어다. 고정된 상대에게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성적 욕구가 식어버리지만 상대가 바뀌면 새로운 성욕이 돋는 현상이다. 새로운 암컷에 대해 새로운 자극을 얻는 효과를 말한다. 수컷이 여러 암컷과 관계를 원하고, 암컷이 새롭게 바뀔수록 강한 자극을 얻는다는 것이다. 심리학에서...
인질이 인질범에게 호감을 가지는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말도 안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종종 이러한 상황들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를 '스톡홀름 신드롬'이라고 칭하는데, 스톡홀름 신드롬이란 인질들이 인질범에 대한  공포심으로 인해 그 상황을 유발한 사람에 대해 ...
'닻내림 효과(Anchoring effect)'는 '정박효과' 또는 '앵커링 효과'라고도 한다. 앵커(anchor)는 배가 항구에 정박할 때 내리는 닻을 의미한다. 닻은 은유적으로 안정을 가져다주는 '지주(支柱)'라는 뜻으로 쓰인다. 즉, 'The anchor of the family'...
원인과 결과를 잘못 인지하는 사회심리 현상. 귀인(歸因)이라는 말은 '원인을 무엇의 탓으로 돌린다'는 뜻. 즉 '귀인오류'란 어떤 결과에 대한 원인을 규정하는 데서 생기는 오류라는 말이다. 어떤 일이 성공했을 때 자신의 역할이나 영향은 과대평가하고, 당시 상황이나 다른 사람들의 영향은 과소평가하는 경향이나 습성을 일컫는 말.&#...
'피그말리온 효과는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피그말리온 효과란, 간절하게 원하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긍정적인 기대나 관심이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긍적적인 결과로 이어지듯이,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변하려고 노력해 그렇게 된다는 것이다.&n...
가짜 신분을 만들어 진짜인 양 행세하는 것으로, 마음속으로 강하게 바라는 것을 진짜 현실이라 여기고 그에 맞는 거짓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현상이다. 자신이 처한 현실을 부정하면서 거짓된 말과 행동으로 주변을 속이며 살아가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말한다. '리플리 병' 또는 '리플리 효과' 라고도 한다.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이 스스로...
'호손 웍스(Hawthrne Works)'라는 공장에서 수행된 근무환경과 작업효율에 관한 실험에서 유래 되었고, 사회학자인 헨리 랜즈버거(Henry Landsberger)가 1958년 '호손 효과'라고 명명했다.심리적인 기대감이 엄청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온다는 효과, 주변 사람들이 할 수 있다고 믿어주면 잘하는 '피그말리...
유명인이 자살을 하면 미디어를 통해서 널리 전파되고 그에 사람들이 영향을 받기도 한다.유명인의 자살이 동반자살을 부추기는 효과를 '베르테르 효과'라고 하는데,이러한 자살충동을 예방하기 위해 상반되는 개념인 '파파게노 효과'가 등장하였다. '파파게노 효과'란  자살에 대한 언론 보도와 미디어 전파를...
평소 본인보다 공부를 못하던 친구가 시험 성적을 자신보다 더 잘 받았을 때, '저 친구는 어떻게 해서 성적이 많이 올랐을까? 학원을 바꿨나? 문제집을 바꿨나? 아니면 새로운 과외를 끊었나?' 등 많은 생각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막상 알고보면 그 친구가 공부를 더 열심히 했거나, 본인이 공부를 많이 하지...
해도해도 본인의 실력이 늘지 않는 것 같고, 하나에 대해서 깊이있게 탐구한다고 하더라도 부족하다고 느낄 때가 종종 있었을 것이다. 이것은 내 의지와 노력이 부족한 탓인걸까? 그럴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거나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초두 효과(또는 초두 현상)는 사회심리학 용어로, 처음에 얻은 정보가 나중에 얻은 정보보다 기억에 훨씬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한다. '첫인상 효과'라고도 불리우는 이 초두 효과는 상반되는 정보가 시간 간격을 두고 주어지면 정보처리과정에서 초기정보가 후기정보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흔히 인상 현성에 첫인상이 중요하다는...
일명 흡혈귀 효과. 소비자들이 광고를 보며 제품보다 광고에 출연하는 모델로 포커스가 옮겨가는 현상.제품의 속성과는 관계없이 톱스타를 모델로 내세울 경우 소비자의 관심이 제품보다는 그 인물에 집중되는 역효과를 일컫는 말이다. 하리수가 새빨간 거짓말 이라는 카피로 얼굴을 알리기 시작한 화장품 광고나, 전지현이 타이트한 의상을 입고 EDM에 맞춰 춤을 추던 삼성...
'내로남불'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는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신조어를 의미하는데 본인이 바람을 피우면 세상에서 둘도 없는 로미오와 줄리엣마냥 애처로운 사랑이고, 타인이 바람을 피우면 불륜이라고 손가락질 하는 그런 의미를 뜻한다. 우리는 이러한 것을 일반적으로 ...
연인들이 부모의 반대에 부딪쳤을 때 오히려 둘의 사람이 더 절실해지고 깊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다른 사람이 반대하면 할 수록 더 강렬하게 거꾸로 가는 반항적 심리현상이다. 연인들이 자신의 자유가 위협을 받거나, 생각이 반대에 부딪칠 경우 그것을 원상태로 회복하기 위해 더 강하게 저항하는 심리적 현상들이 이에 해당한다.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혹시 종종 키덜트나 어른아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키덜트는 kid+adult를 합친 말로 아이들 같은 감성을 가진 어른을 의미한다.덩치는 어른이지만 어린아이로 남고 싶어하는 이러한 사람들에게 흔히 '피터팬 증후군'이라고 말한다. 피터팬 증후군이란 신체적으로 어른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성인으로...
집단 속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수가 늘어갈수록 성과에 대한 1인당 공헌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현상으로, 한 집단의 구성원 증가와 집단의 역량이 비례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개인이 집단에 속해 있을 때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링겔만 효과'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원인은 대중 속에서 '나 하나쯤이야' 라는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