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검색어

검색 제안

다크모드
상단 스크롤바

롱테일 법칙 (Long tail law)

profile_image

페이지 정보

본문

66dc2e6daa67349e4b8d79278786e9a6483fd5ab.jpg


하위 80%가 상위 20%보다 더 뛰어난 가치를 창출한다는 이론. 앞서소개한 파레트법칙과 반대되는 이론이다. 

상품의 매출액과 판매량의 그래프로 나타낼 때, 공룡의 머리에 해당하는 인기상품의 막대는 그렇지 않은 상품에 비해 불룩 솟아 높지만, 꼬리부분 상품의 판매량과 매출을 모두 합하면 인기상품을 능다한다는 것이다. 

적게 팔리는 상품들은 단위매출은 낮지만 긴 꼬리처럼 길게 이어져 있다. 

이 긴 꼬리구간의 상품들을 모두 합치면 머리부분에 해당하는 상위 20% 상품의 매출을 넘어선다는 것이다. 

'롱테일 법칙'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시장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마케팅 기법의 일종이다. 

롱테일 법칙은 '파레토 법칙'과는 반대되는 개념이지만 파레토 법칙을 뒤엎는 개념은 아니다. 

점점 다변화되는 사회현상을 균형적으로 설명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추천 0 비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지식충전
게시물 122건 7 페이지
집단 속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수가 늘어갈수록 성과에 대한 1인당 공헌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현상으로, 한 집단의 구성원 증가와 집단의 역량이 비례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개인이 집단에 속해 있을 때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링겔만 효과'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원인은 대중 속에서 '나 하나쯤이야' 라는 안...
하위 80%가 상위 20%보다 더 뛰어난 가치를 창출한다는 이론. 앞서소개한 파레트법칙과 반대되는 이론이다. 상품의 매출액과 판매량의 그래프로 나타낼 때, 공룡의 머리에 해당하는 인기상품의 막대는 그렇지 않은 상품에 비해 불룩 솟아 높지만, 꼬리부분 상품의 판매량과 매출을 모두 합하면 인기상품을 능다한다는 것이다. 적게 팔리는 상품들은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