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검색어

검색 제안

다크모드
상단 스크롤바

그레샴의 법칙 (Gresham's law)

profile_image

페이지 정보

본문

89a22fc4e543914d6cbdcaf390f826bba5eeb843.jpg


16세기 영국의 상인이자 금융업자인 토마스 그레샴(Thomas Gresham, 1519~1579)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영국의 왕 헨리 8세는 유산을 모두 까먹고 주화릐 함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자신의 낭비벽을 충족시켰다.

금화에 구리를 섞어 주조하여 유통시켰고, 이로인해 사람들은 금이 많이 들어간 금화는 소유를 해버리고 금 함유가 낮은 금화만 시장에 유통을 시킨것이다.

헨리 8세가 죽자 그레샴은 후계자인 엘리자베스 1세에게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며 악화 제거를 건의했다.

이 때 부터 '그레샴의 법칙'으로 명명됐다.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Bad money drives out good money)'는 법칙.


여기서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거나 '만들거나 완성하는'것이 아니다. 쫓아내고 몰아낸다는 뜻이다.

가치가 높은 것을 사용하지 않고 실질가치가 낮은 물건을 사용할 때 쓰는 말이다.

'그레샴의 법칙'은 경제학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적용되고있다.


가치가 서로 다른 화폐가 동일한 명목가치를 가진 화폐로 통용되면, 소재가치가 높은 화폐(good money)는 유통시장에서 사라지고 소재가치가 낮은 화폐(bad money)만 유통되는 현상을 말한다.

금과 현금 10만 원을 비교해보자면, 실질적 가치는 금이 더 높다. 하지만 사람들은 실질적 가치가 있는 금은 사용하지 않고 10만 원이라는 종이를 사용하고있다. 이때 악화(10만 원)가 양화(금)를 구축(몰아낸다)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서로 경쟁을 벌이는 것들에 대해 가치를 식별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나쁜 것이 좋은 것을 서서히 밀어내어 시장에는 나쁜 것만 남게 된다는 뜻이다.


예컨대, 자동차 회사들이 가솔린 엔진 시장을 지키기 위해 전기자동차 판매를 늦추고 있는 것이나, 불법 다운로드가 일상화 되면서 정품 소프트웨어 시장이 어려움을 겪는 것. 인력관리에 소홀한 회사에서 자질이 우수한 인재는 떠나고 열등한 인력만 남게되는 것 등이 그 예다.

추천 0 비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지식충전
게시물 122건 5 페이지
미꾸라지들은 미꾸라지만 있는 수조에서는 활력을 잃고 무기력해져 잘 움직이지 않는다. 하지만 미꾸라지의 천적인 메기를 그 수조속으로 집어넣으면 미꾸라지들은 메기에게 잡아먹히지 않으려고 이리저리 도망을 다니면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생기가 돈다. 이렇게 미꾸라지처럼  천적이나 경쟁자, 혹은 라이벌이 있으면 상대를 피하...
레임덕 (Lame duck) 은 말 그대로 다리를 저는 절음발이 오리이다. 이는 임기가 끝나가는 공직자를 비유한 말인데, 권력이 새어나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우리가 흔히 레임덕을 정치계에서 볼 수 있는데, 정치 지도자의 집권이 끝나갈 때 정책 결정을 늦게하고, 업무 능력을 저하시켜 지도력 공백을 일으키는 부정적이고 나쁜 ...
'내일은 옷장 정리를 하기 위해서 마트에서 옷걸이도 좀 사오고, 안 입는 옷은 세탁소에 맡겨야지~' 하고결심한 다음 날 마트에 갔더니 옷걸이는 품절이라 판매를 하지도 않고,옷을 잔뜩 들고 세탁소에 갔더니 세탁소마저 문을 닫아버린 하루가 있었다. 세탁소에서 터덜터덜 옷을 안고 집에 가는 길에 '오늘 무슨 날인가? 되는 ...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가끔은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고, '내가 만약 ~한다면'하는 생각을 해본 경험이 종종 있을 것이다.이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한 번쯤은 겪을 수 있으며,본인의 이상향을 그려보는 것은 잘못된 일은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에 과몰입하거나 심각해진다면 자신이 살아가는 현...
사회전반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80%는 20%의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한다는 경험법칙이다. 80%의 효과는 20%의 노력으로 얻어진다는 것이다. '20:80의 법칙'으로도 불린다. 중요한 소수가 결과의 대다수를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20%의 기업구성원이 전체 업무의 80%를 수행한다거나, 20%의 범죄자가 저지른 ...
'빈익빈, 부익부'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혹은 '돈이 많은 사람들은 계속해서 돈을 벌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계속 가난하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는가.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부가 한쪽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를 '마태 효과&#...
무언가를 발견하고 신이 났을 때 종종 "유레카!"라고 외치는 사람들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여기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유레카'는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유레카'는 찾았다/알았다/발견했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표현이다. 어떠한 질문이나 문제에 대한 대답을 고민하다가 순간적으로 딱 떠올랐을 ...
부메랑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인 '아보리진'이 사냥이나 전쟁을 할 때 사용했던 도구이다. 그들은 목표를 공격한 후 다시 본인에게로 되돌아오는 부메랑을 만들었는데, 만약 부메랑이 본인이 목표한 목표물에 맞지 않고 그대로 돌아오면 부메랑을 던진 사람이 공격받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상황처럼 본인이 의도...
'미각 혐오 학습(Taste aversion learning)'이라 불린다. 이것은 특정 맛을 회피하는 현상으로, '조건부 미각 혐오' 라고도 한다. 어떤 음식의 맛을 독, 변질, 독성 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증상과 연관시켜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에 대한 즉각적인 학습효과다. 예를 들어, 햄버거를 먹고 배탈이 나면 햄버거를 먹는...
물이 절반정도 채워진 컵을 보면서 물이 “절반이나 남았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고, 반대로 “절반밖에 안 남았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기도하다. 이는 개개인이 생각하는 틀, 즉 프레임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인데 긍정적 틀을 적용할 경우 긍정적인 결론이, 부정적 틀을...
유행하는 물건들을 보고 유행에 탑승하여 그 물건을 사는 사람들도 있지만, 오히려 사람들이 너무 많이 구매해서 사기를 꺼려하는 사람들이 있다. 남들과는 다른 본인만의 개성을 추구하고 그것을 과시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소비하는 것을 사지 않는 것은 물론 그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감소하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스놉 효과&#...
종종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관람하면서 작품을 보며전율을 느끼거나 감탄한 경험이 있는가? 뛰어난 예술작품을 보고 순간적으로 흥분에 빠지거나정신적 충동, 현기증, 혼란, 압박 등의 증세가 보여서 감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을 '스탕달 신드롬'이라고 한다.이는 주로 감수성이 풍부하거나 예민한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16세기 영국의 상인이자 금융업자인 토마스 그레샴(Thomas Gresham, 1519~1579)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영국의 왕 헨리 8세는 유산을 모두 까먹고 주화릐 함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자신의 낭비벽을 충족시켰다.금화에 구리를 섞어 주조하여 유통시켰고, 이로인해 사람들은 금이 많이 들어간 금화는 소유를 해버리고 금 함유가 낮은 금화만 ...
세상에는 많은 정보들과 복합적인 정보들이 있고 우리는 그 사이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을 중심으로 선택하여 받아들이면서 살아간다. 이는 '칵테일 파티 효과'와 같은 원리인데, 칵테일 파티에서 여러 잡음이 많은 상황에서도 본인이 흥미를 갖고 관심을 가지는 이야기에만 귀를 기울이는 심리현상이다. 사람들은 귀를 ...
'솔로몬'이라 하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솔로몬의 법칙을 생각하거나 그가 발휘한 지혜를 떠올릴 것이다. '솔로몬'은 그 자체로 지혜롭다, 현명하다, 사려 깊다는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지혜로웠던 솔로몬 왕을 비유해서 갈등이나 여러 상황들을 지혜롭게 해결할 때 ...
우리가 흔히 드라마에서 범죄자가 경찰에게 잡혀가는 장면에서 "당신은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고, 묵비권을 행사할 수 있다"라고 말하는 경찰을 볼 수 있다. 마치 드라마 작가들끼리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꼭 그런 장면에서는 저런 말을 하는데 저 문장에는 어떤 의미가 들어있기 때문일까? 우선, 경찰이나 검찰이 ...
'호손 웍스(Hawthrne Works)'라는 공장에서 수행된 근무환경과 작업효율에 관한 실험에서 유래 되었고, 사회학자인 헨리 랜즈버거(Henry Landsberger)가 1958년 '호손 효과'라고 명명했다.심리적인 기대감이 엄청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온다는 효과, 주변 사람들이 할 수 있다고 믿어주면 잘하는 '피그말리...
인질이 인질범에게 호감을 가지는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말도 안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종종 이러한 상황들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를 '스톡홀름 신드롬'이라고 칭하는데, 스톡홀름 신드롬이란 인질들이 인질범에 대한  공포심으로 인해 그 상황을 유발한 사람에 대해 ...
가장 부족한 것이 결과를 결정한다.위의 문장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는 아무리 많은 것들을 가지고 있더라도 부족한 것이 하나가 있다면그 부족한 것 때문에 성장하지 못하거나 일을 그르칠 수도 있다는 것인데, '최소량의 법칙'이라고 한다. 최소량의 법칙은 독일의 생물학자인 리비히가 발견한 법칙인데, 식물의 성...
위의 사진처럼 누군가 쓰러졌을 때 혹은 싸움이 벌어졌을 때 먼저 나서서 신고하거나 말릴 생각은 하지 않고 방관자처럼 타인에게 미루기만 하면서 가만히 지켜보고 있는 상황을 겪어본 적이 있는가? 이를 '방관자 효과'라고 하는데, 방관자 효과를 범죄 심리학에서는 '제노비스 신드롬'이라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