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검색어

검색 제안

다크모드
상단 스크롤바

뮌하우젠 증후군 (Munchausen syndrome)

profile_image

페이지 정보

본문

09e0f5a8f22b84a3fa6312d0b892840d1557c9b6.jpg


행동이 도를 넘어서는 '관심병' 환자. 

주위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꾀병 등 거짓말을 일삼는 병리적 질환이다. 

'가장성 장애'라고도 한다. 

주로 신체적인 징후나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내서 자신에게 관심과 동정을 이끌어내는 정신과적 질환이다. 

실제로는 아무 이상이 없는 데도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아픈 증상을 꾸며내거나 자해를 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 

또한 병이 있는 것처럼 가장해 이른바 병원, 의사 '쇼핑'을 하는 증상을 보인다. 

어린 시절 과보호나 정신적 상처를 입은 사람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일부 환자는 자신의 자녀나 애완동물을 '대리환자'로 삼아 학대를 일삼기도 한다.

1951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 리처드 아셔(Richard Asher)가 18세기 모험소설 《말썽꾸러기 폰 뮌하우젠 남작의 모험》에서 병명을 따와 이름을 붙인 것이다.


비슷한 정신 질환으로는 '뮌하우젠 신드롬 바이 프록시(Munchausen Syndrome by Proxy)' 라는 것도 있다. 

남을 아프게 해서 자신의 보호본능을 만족시키려는 증상이다. 

이는 부모나 간병인 등이 주변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이 돌보고 있는 어린이, 중환자 등에게 상처를 입히는 정신질환이다. 

아동학대의 형태로 나타난다. 

자신이 돌보는 아이를 아프게 해서 병원을 찾아가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보호본능을 대리만족 시킨다.


몇 년 전, 인터넷에서 유명세를 타기위해 아이를 일부러 학대하고 소금을 먹여 죽인 20대 여성이나, 스티븐 호킹 박사가 재혼한 부인 일레인이 이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스티븐호킹 박사는 재혼 이후 손목이 부러지는 등의 잦은 부상으로 병원을 찾았으며 그의 부인 일레인은 이런 그를 헌신적으로 돌봐 주위 사람의 동정을 받았다. 

그러던 중 일레인이 일부러 호킹 박사의 몸에 상처를 입히고 휠체어를 넘어뜨려 손목뼈를 부러뜨렸다는 목격담이 나왔고, 이는 얼마 후 사실로 밝혀졌다. 

알레인은 호킹 박사를 지극히 간호하는 모습을 다른사람들에게 보여줌으로써 그들에게서 동정을 받고 싶었고 이 때문에 일부러 호킹 박사를 다치게 했던 것이다.


추천 0 비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지식충전
게시물 122건 1 페이지
선거와 관련된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브래들리 효과'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브래들리 효과'란 선거 전의 여론조사나 출구조사를 할 때 지지율이 우세하였던 사람이 실제 선거에서는 여론조사와 출구조사의 결과랑 다르게 득표율이 낮게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브래들리 효과는 1982년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 당시 여론...
위의 그림처럼 본인이 예상한대로 혹은, 예측했던 방향대로 상황이 흘러가지 않고 아무리 노력해도 운이 좋은 사람을 못당해내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모든 일에 대한 성공과 실패는 본인의 운에 달려있는 것이지, 노력에 달려있는게 아니라는 말이 있는데 이를 사자성어로 운칠기삼(運七技三)이라고 표현한다. 운칠기삼이...
'쿨리지 효과'란 원래 무언가를 같이하던 상대를 바꾸었을 때 욕망이 커지는 경우를 의미한다.즉, 성관계를 하는 파트너를 바꾸었을 때 그 사람의 성적 욕망이 증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언가를 꾸준히 하거나 시간이 오래 지나면 그 대상에 대해 질려하거나 자극을 느끼지 않는다. 이처럼 고정되어있는 상대에 대해서...
평생을 가난하고 아픈 사람을 위해 봉사한 마더테레사 수녀에게, '세계 평화를 위해 제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이 들어왔고마더테레사 수녀는 '집으로 돌아가 가족을 사랑해주세요.'라고 답했다. 이처럼 마더테레사 수녀의 남을 돕고 돌보는 것을 비유하여 '테레사 효과'라는 말이 ...
어떤 사람을 처음 봤을 때, 그 사람의 눈가에 점이 있다거나 혹은 입술이 두껍다는 등 그 사람의 두드러진 특징이 있을 때 우리는 그 두드러진 특징으로 그사람의 인상을 형성한다. 이렇게 튀는 사람이 눈에 잘 들어오고 가장 영향력이 있어보이며 두드러진 특징이 인상을 형성하는데 크게 작용하는 심리 현상을 '현저성 효과&...
외모에 대해 집착하고 본인의 외모에 만족을 못해서 꾸미는 것은 여성에게만 일어나는 일일까?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아도니스 신드롬'을 제시하며 아니라고 답할 수 있다. 여기서 '아도니스 신드롬'이란 쉽게 말해서 남성들이 본인의 외모에 집착하는 증세를 말한다. 아도니스 신드롬은 외모 지상주의가 낳은 폐해 중 하나인...
라지 피자 두 판이 있다고 생각해보자.라지 피자 두 판으로 한 끼 식사를 해결하려면 몇 명의 사람들이 필요할까? 라지 피자 두 판으로 한 끼 식사를 해결하기 위해서 성인을 기준으로 본다면 최소 6명에서 최대 10명까지의 사람들이 필요할 것이다. 여기서부터 나온 말이 바로 '피자 두 판의 규칙'인데, 이는 피...
'여기가 진짜 니 행동을 참을 수 있는 마지노선이다.''여기까지가 내 마지노선이다.' 우리는 종종 이런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마지노선'은 무엇을 의미하는걸까? '마지노선'이란 최후의 방어선이라는 뜻으로,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으며 허용할 수 없는 ...
시스터 콤플렉스, 마마보이 등 가족 구성원 중 한 사람에 유난히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붙이는 말은 다양하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도 그러한 단어들 중 하나인데, 이는 누가 누구에게 많은 애정을 주고 의존하는 것일까?'엘렉트라 콤플렉스'는 딸이 아버지를 유난히 좋아하는 현상을 말한다.&nbs...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 ISBN) 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에 의해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각종 도서에 부여하는 고유한 식별번호입니다.01. 복잡한 서지데이터 입력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복제시 오류 발생 방지02. 도서의 주문과 배포를 처리하는데 있어 빠르고 효과적03. 서점의 전...
다들 한 번쯤은 바보온달과 평강공주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평강공주가 바보온달을 만나 사랑하고, 온달을 교육시켜 결국에는 나라를 구하는 장군으로 만들었다는 내용의 이야기인데, 여기서부터 '온달 콤플렉스'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온달 콤플렉스'는 능력과 재력을 갖춘 여성과 결혼하여...
안전함을 위해 만들어진 것들이 오히려 사고를 더 많이 불러일으킨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이는 안전을 도모할수록 위험해진다는 미국의 경제학자 샘 펠츠만이 한 주장이다. 그의 이름을 따 이를 '펠츠만 효과'라고 부르는데, '펠츠만 효과'란 안전벨트, 에어백 등 자동차의 사고를 방지하고사고에 의한 부상을 줄이기...
하나의 똑같은 사건이나 일에 대해서 서로 다른 입장에 서서 해석하고 그 사건을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계속 하다보면 사건이나 일에 대한 본질 자체를 다르게 인식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영화 '라쇼몽 (羅生門)' 제목을 따 '라쇼몽 효과'라고 하는데, 이는 같은 사건에 대한 증...
주로 가는 편의점의 아르바이트생을 자주 볼 때, 혹은 매일 똑같은 사람을 마주치는 등계속해서 반복적인 일이나 행동을 할 때 자주 얼굴을 보는 것만으로도 친근감이나 반가움 혹은 호감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단순히 자주 보거나 동일한 대상에 대한 노출이 거듭될수록 호감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단순노출 효과'...
'최신 효과'라는 말을 들으면 가장 먼저 뭐가 떠오르는가?최신에 나온 것들이 유행해서 사람들이 많이 구매하는 것?혹은 최신에 많은 현상들이 나오는 것?위 사진을 보면 짐작할 수 있듯이 가장 최근 혹은 최신에 본 것일수록 유리하고 기억에 더 오래 남는 것을 '최신 효과'라고 한다. 가장 나중에 제시된 정보나 가장...
뒤렌달 효과(Diderot Effect)는 사람이 새로운 물건 하나를 구매하면,그에 어울리는 다른 물건까지 연쇄적으로 구매하게 되는 소비 심리를 말합니다.프랑스 철학자 드니 뒤렌달(Denis Diderot)의 에세이에서 유래.그는 고급 실크 가운을 선물 받고 난 뒤, 주변의 낡은 가구들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느껴 새 물건들을 계속 사들이게 되었다고 고백함.예...
알고리즘(Algorithm)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steps)나 규칙(rule)의 집합입니다.쉽게 말해,“문제를 푸는 방법의 공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누군가에게 전화를 건다”는 일도 하나의 알고리즘이 될 수 있습니다.1. 전화 앱을 켠다2. 연락처를 연다3. 상대 이름을 누른다4...
지브리 화풍은 일본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인 스튜디오 지브리(Studio Ghibli)가 작품에서 보여주는 독특하고 감성적인 그림체와 연출 방식을 말합니다.이 화풍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으며, 따뜻하고 섬세한 감성 표현이 특징입니다.지브리 화풍의 주요 특징1. 섬세하고 부드러운 배경 묘사자연 풍경, 시골 마을, 구름, 하늘, 숲, 강 등 현실...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은 서버나 네트워크의 부하(Load)를 여러 대의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분산(Balancing)하여 한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관리하는 기술입니다.로드 밸런싱의 주요 목적:성능 향상: 요청을 여러 서버에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전체적인 응답 속도를 높입니다.가용성 향상: 한 서버가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서버가 요청...
길거리를 걸어갈 때 예쁜 여자와 못생긴 남자가 같이 다니는 것을 보고저 남자의 어디가 좋을까라는 생각을 해본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렇게 겉으로만 보고 타인을 판단하고 생각하는 것은 방사 효과를 불러일으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방사 효과'란 매력 있는 사람 혹은 짝과 함께 길을 지나다니거나 있을 때본인의 사회적인 ...